본문 바로가기
★ 정부 지원

정부지원제도 기준, 중위소득 100% ?

by Don_Story 2025. 5. 12.

정부지원제도 기준, 중위소득 100%가 뭔가요?


정부지원제도에서 꼭 나오는 그 기준, 쉽게 풀어드립니다!

 

 


📌 정부지원 제도는 왜 ‘중위소득’을 기준으로 하나요?


정부에서 청년내일저축계좌, 기초생활보장, 긴급복지지원 같은 복지제도를 소개할 때마다
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. 바로 **‘중위소득 ○○% 이하’**죠.
하지만 이 용어, 처음 듣는 사람에겐 꽤 헷갈릴 수 있습니다.

 


✅ 중위소득이란?


중위소득이란 전체 가구를 소득순으로 나열했을 때, 정중앙에 있는 가구의 소득입니다.

예를 들어, 어떤 나라에 가구가 100가구 있다면
그 중 50번째 가구의 소득이 ‘중위소득’입니다.

즉,
상위 50%는 그보다 많이 벌고,
하위 50%는 그보다 적게 버는 구조입니다.

평균소득과는 다릅니다.
평균은 상위 부자 몇 명이 끌어올리기 때문에 실제 생활 수준을 반영하기 어렵습니다.


🧮 2025년 기준 중위소득 100%는 얼마인가요?


중위소득은 매년 보건복지부에서 고시하며, 가구원 수에 따라 다릅니다.

가구원 수중위소득 100% (2025년 기준, 월 기준)

1인 가구 226만 원
2인 가구 375만 원
3인 가구 482만 원
4인 가구 589만 원


※ 자료: 보건복지부 2025년 기준 중위소득 고시안

예를 들어, 1인 가구인 청년이 월 소득이 220만 원이면
‘중위소득 100% 이하’ 조건을 충족합니다.

 


🎯 어디에 활용되나요?


중위소득은 정부지원제도의 신청 자격을 판단할 때 핵심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

제도명 중위소득 기준

청년내일저축계좌 100% 이하
희망저축계좌Ⅰ 50% 이하
긴급복지지원 75~100% 이하
기초생활수급자 30~50% 이하


즉, 내가 어떤 제도에 해당되는지 확인할 때
‘우리 가구가 중위소득 몇 %인지’ 알아야 하는 이유가 바로 여기에 있습니다.



🧾 그럼, 우리 집은 중위소득 몇 %일까요?


[STEP 1] 가구원 수 파악하기
나 혼자 살면 1인 가구
부모, 배우자, 자녀와 함께 산다면 ‘동거가족’ 모두 포함

[STEP 2] 전체 가구 소득 계산하기급여 + 사업소득 + 재산소득 + 기타 소득
공적자료 기준으로 ‘건강보험료 납입액’으로 판단하기도 함

[STEP 3] 고시된 표와 비교하기
복지로 사이트에서 ‘중위소득 모의계산기’ 사용 가능

 


🧠 헷갈리는 질문들, 정리해드려요!


Q. 중위소득 100%가 넘으면 아무 혜택도 못 받나요?
👉 꼭 그렇진 않습니다. 일부 제도는 120%, 150%까지 열려 있습니다.
→ 예: 전세금 대출 보증, 주거급여, 육아지원 제도 등

Q. 부모랑 같이 사는데, 소득도 합쳐서 중위소득이 계산하나요?
👉 원칙적으로 ‘동일 가구’로 간주되어 부모 소득도 합산됩니다.
→ 하지만 취업 후 독립 세대로 인정받는 경우 예외도 있음

 

중위소득은 ‘숨은 돈’의 지도입니다


청년에게 가장 필요한 건 단순한 절약이 아니라 제도를 통해 돈을 키우는 방법을 아는 것입니다.
그 출발점이 바로 ‘우리 가구의 중위소득’을 정확히 아는 것입니다.

앞으로도 중위소득에 대한 기준이 나올 때
“어? 나 그거 아는 건데!” 하며 기회를 놓치지 마세요.